본문 바로가기

유대칠463

함석헌 읽기 1 "사람들은 서로 손을 잡게 됐다. 사람이 비로소 인간적이 되기 시작한 것이다." - 함석헌 나는 나다. 말하는 나만이 가득한 세상에선 나도 결국은 죽게 된다. 더불어 있음, 그 만남으로 함께 하는 가운데 나도 나로 있게 된다. 정말 인간으로 있게 된다. 서로 싸우고 서로 떨어져 서로 외로운 존재로 있는 것이 인간인가? 아니다. 서로 잡은 손으로 하나되는 가운데 나도 진짜 나로 있게 되고 비로소 인간으로 제대로 있게 된다. 유대칠 씀 2019. 10. 6.
권위(auctoritas)와 권력(potestas)을 생각하다! 사람은 육체와 영혼을 가지고 있다. 육체는 감각 기관을 가지고 있다. 그 감각 기관으로 이런 저런 좋은 것을 지각한다. 그리고 그 지각에 따라서 욕심이 생긴다. 맛난 것을 지각하고 그 좋음을 알게 되면 그것을 욕심내게 된다. 그런데 사람이 가진 입맛이란 것이 어느 정도의 교집합이 있으니 결국 좋은 음식 몇몇을 더 먹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다투어야 한다. 맛난 것을 더 많이 먹기 위해 말이다. 그런데 육체가 소멸되듯이 감각 기관의 기쁨이란 것도 있다 없어진다. 어느 순간 지루해진다. 곧 사라질 육체의 곧 사라질 감각적 기쁨을 위해 누군가의 삶을 아프게 한다는 것이 참 슬프다. '나라'도 마찬가지다. 한 나라 역시 한 사람과 마찬가지다. 그저 감각적인 것만 추구하고 살아간다고 좋은 것은 아니다. 맛난 것 나.. 2019. 10. 6.
나라는 존재... 나는 태어나길 가정에서 태어났다. 사람에 따라 굳이 생물학적인 부모와의 가정이라도 상관없다. 모두다 누군가와 더불어 있는 자신으로 자신을 돌아본다. 어느 한 순간도 철저히 나로 홀로 있지 않다. 다투던 이와의 아픈 기억도 사랑하더 이와의 소중한 기억도 항상 누군가와 함께 있다. 그렇다. 그리도 홀로 있고 싶다지만 결코 철저히 홀로 있을 수 없는 것이 사람이다. 바로 나라는 존재다. 눈을 감고 어둠 속 자신만 보고 산다면 행복할까? 사랑하는 이의 웃음도 눈물도 없이 그저 홀로 나는 너희와 다른 세상이라며 그리 있는 것이 정말 행복일까? 아닐거다. 적어도 나는 아닐 것 같다. 눈을 뜨고 세상 부조리를 보며 내 안에 어지러움으로 다가오는 아픔 앞에서 자신이 무엇을 해야할지 고민해야 제대로 있는 것일거다. 고민.. 2019. 10. 5.
해탈... 자유...산스크리트어로 मोक्ष(mokṣa)다. 이 단어는 놓아주고 해방시켜준다는 의미의 동사 मुच्,(muc)에서 파생된 추상명사다. 이 말은 우리에게 '해탈'로 익숙하다. 해탈한다는 것도 결국은 벗어난다는 말이다. 자유롭게 된다는 말이다. 아집에서 벗어난다는 말이 결국은 해탈한다는 말이다. 아집, '홀로 좋음'에 구속되어 다른 이들은 보지 못하고 그저 홀로 좋은 것만 추구하며 결국은 그 추구의 대상에 자신의 존재가 구속되는 그 지경, 바로 그러한 지경에서 벗어나는 것이 해탈이다. 자유다. 진리가 우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음. 진리가 우리를 해탈하게 할 것이다. 음. 아집의 행복이 얼마나 거짓인지 그 진실을 알면 해탈하게 될 듯 하다. 유대칠 씀 2019.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