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불어존재론

'너의 아픔'은 '우리 있음의 터'다. '만남의 터'다. (대한민국철학사 한 줄 읽기)

by Daechilyus Ambrosius Magnus 2020. 3. 14.
철학의 자리는 고난의 자리다. 철학은 자기 소리를 내는 것이다. ‘자기 무시’ 가 민중을 침묵하게 하는 힘이 있다면, 철학은 자기 소리를 내게 한다. <대한민국철학사> 368쪽

사악한 사람이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런 사람만 있다면, 마스크가 아니라, 방탄조끼를 입고 무장을 하며 살아도 불안했을 것이다. 살아가면서 나는 참으로 많은 무시와 조롱을 받았지만 또 나를 지금까지 있게 한 고마움 또한 너무나 많았다. 나란 존재는 어쩌면 그 고마움의 순간이란 조각들이 이른 그 무엇일지 모른다. 나의 존재 자체가 이미 너를 불러 있고 우리 속에서 있을 수 밖에 없는 그 무엇이란 말이다.

그러나 사악한 이들도 있다. 이 와중에도 돈 욕심에 타인의 불안이나 아픔은 보이지 않는 사람들도 있고, 이 불안을 무지하고 무식한 이의 어리석음 정도로 치부하며 나는 너와 다르다는 생각으로 또 다른 방식의 조롱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사람도 있다. 어쩌면 나도 그럴지 모른다. 어느 정도 선하며 어느 정도 악한 그 경계의 어딘가에서 열심히 나는 우리 속에서 나의 뜻을 찾으려 한다.

나는 온전히 너의 아픔을 다 품을 수 없다. 온전히 너의 아픔이 나의 아픔일 수도 없다. 그래서 너는 나에게 멀리 있는 그 무엇이지만, 동시에 우리 가운데 나에게 뜻으로 다가온 내 존재의 터다. 너의 아픔이 온전히 있는 그대로 나의 아픔이 아니기에 나는 너의 아픔을 향하여 더 안아준다. 그렇게 너의 아픔이 온전히 나의 아픔은 아니지만, 우리의 아픔에 품어지도록 말이다.

'나' 하나의 드러남의 크기 만큼 '나' 하나의 악은 쌓인다.

나는 생각보다 너에게 아픔을 주는 가해자다. 나쁨이다. 그 나쁨을 알 수록 나는 좋음의 터가 될 준비를 할 수 있다. 나의 좋음은 나의 이기심과 욕심으로 채워지는 것이 아니라, 너의 눈물과 아픔의 터가 될 때 가능함으로 말이다. 그때 너 역시 나와 더불어 웃고 나 역시 너의 더불어 웃게 된다. 

나의 무지와 무식과 불안이 너에게 조롱의 대상이 되지 않아야 하듯이 너의 무지와 무식과 불안 역시 나에게 조롱의 대상이 아닌 안아주어야 할 그 무엇이다. 우리가 되어야할 그 자리에 드러난 우리 있음의 터다. 만남의 터다.

유대칠 씀

http://aladin.kr/p/BW2W9

 

대한민국 철학사

이 땅에서 우리말, 우리글로 역사의 주체인 우리가 우리의 삶과 고난에 대해 고민하고 사유한 결과물이 한국철학이다. 위계의 사회였던 조선을 제대로 뒷받침해준 성리학과 이후 사민평등 사상을 가진 양명학의 전개...

www.aladin.co.kr

후원금은 연구소의 유일한 생존 토대가 됩니다. 소액 정기적 후원도 일시적인 후원도, 금액 상관 없이 항상 고마운 마음으로 기다립니다. 여러분과 더불어 여러분의 삶에 쓸모 있는 철학을 일구고자 합니다.  <국민은행 96677343443 유대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