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캄연구소394

누가 나의 이웃인가요? <모든 형제들> 읽기 9 얼마 전 한 교사가 학생들에게 우리 사회의 불가촉천민이 어떤 이들인지 숙제를 낸 일이 있었다고 합니다. 참 경악스러운 일입니다. 모두에게 평등을 가르쳐야 할 교사가 학생들에게 우리 사회의 '불가촉천민'을 조사해보란 것이 얼마나 잔인하고 아픈 일인지요. 혹시나 그 숙제를 해야 하는 학생 가운데 자신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불가촉천민으로 적어야 하는 이들이 있진 않았을까요. 가난하고 사회적으로 그리 큰 대접을 받지 않은 일을 하니 말입니다. 아무리 아니라 해도 많은 이들이 그런 직업과 그런 소득의 사람들을 무시하고 있는 것도 차별하고 있는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우리 시대의 아프고 슬픈 죄업의 현실이니 말입니다. 그럼에도 어떻게 그런 잔인한 숙제를 아이들에게 낼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 숙제를 통하여 역으로 .. 2021. 3. 17.
위선적으로 살지 맙시다! <모든 형제들> 읽기 8 가난한 나라의 가난한 사람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시나요. 그냥 남의 일인가요? 가난한 나라의 가난한 사람의 아픔을 보면 우리의 죄를 마주합니다. 그들에게 우린 어쩌면 정당한 권리를 내어주지 않은 것일지 모릅니다. 조금 더 싸게 커피를 마시고 조금 더 싸게 과일을 먹고 조금 더 싸게 우리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그들의 정당하고 당연한 권리를 아프게 했는지 모릅니다. 그들의 권리를 그렇게 빼앗아가고 쓰던 헌 옷을 건넨다고 그들에게 당당할 수 있을까요. 그들의 앞에서 우리 욕심의 죄를 마주합니다. 그들 앞에서 우린 우리를 마주하게 됩니다. 부끄러운 우리입니다. 은 이렇게 아파하고 있습니다. “여러 국가로 이뤄진 가족이라는 개념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유엔의 개혁과 더불어 국제 경제, 재정 구조 개혁이 필요.. 2021. 3. 16.
탈레스, 밤하늘의 별을 보며 살아가다. 가톨릭일꾼 가톨릭일꾼은 오캄연구소의 소중한 벗입니다. 비록 제가 큰 지혜를 가진 사람은 아니지만 이곳에 이렇게 철학사 연재 하나를 담았습니다. 함께 읽어주셔요. 탈레스, 밤하늘의 별을 보며 살아가다 - 가톨릭일꾼 “왜 철학을 할까?” 이 질문을 받으면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바로 고대 헬라 철학자 탈레스(Thales, 기원전 625?-기원전 547?)다. 예수가 태어나기 500년보다 더 오랜 과거의 사람인 그가 21세기를 살 www.catholicworker.kr 2021. 3. 16.
알고만 있다고 답이 아닙니다. <모든 형제들> 읽기 7 무엇이 바른 길인지 아는 것이 바른 삶을 이끌지 않습니다. 몰라서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할 마음이 없어서 하지 않는 것입니다. 교육이 부족해서라기 보다는 할 마음이 없는 것입니다. 사회교리를 배운 사제의 실망스러운 모습도 하느님의 말씀을 그렇게 많이 읽고 단련된 목회자의 실망스러운 모습도 사실 몰라서 생긴 것이라기보다는 할 마음이 없기 때문입니다. 의 다음 구절을 읽어봅시다. “길을 가다 보면 우리도 반드시 그렇게 다친 사람을 만나기 마련이다. 오늘날에는 그렇게 다친 사람들이 많다. 길가에서 도움을 청하는 이들을 포용할 것인가 배제할 것인가의 문제는 모든 경제, 사회, 정치, 종교계의 계획을 정의한다.”(69항) 사회교리의 길고 긴 이야기를 쉽게 정리해 봅시다. 길을 가다 아프고 힘든 사람을 만났다 .. 2021.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