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성리학4

유식혜의 조선 후기 철학사 3: 조선의 현실 더 선명하게 나누어지다. 조선 후기 철학사 강의 3: 조선의 현실 더 선명하게 나누어지다. 1709년 충청도 보령의 한산사에 모인 권상하의 제자들은 당시 조선 사회의 현실에 대한 뚜렷하게 구분되는 두 가지 정치-존재론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위계의 질서를 더욱더 단단하게 강화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보다 더 유연한 모습으로 존재론적 평등의 가능성을 시도하고 있었다. 이 두 가지는 조선 후기 호락논쟁의 두 갈래 입장들이 된다. 그 가운데 ‘호론’은 권상하-한원진의 학맥으로 이들은 ‘사람’과 ‘사람 아닌 것’의 본성은 다르다는 결론을 의심하지 않았다. 정치-존재론스럽게 이야기한다면, ‘양반’과 ‘양반 아닌 이’의 본성은 다르다는 결론을 결코 의심하지 않았다. 앞선 강의에서 소개한 이간의 입장을 긍정하는 ‘낙론’의 입장은 달랐다. 김창.. 2020. 12. 30.
유식혜의 조선 후기 철학사 2: 1709년 현실에 대한 두 가지 시선이 등장하였다. 조선 후기 철학사 강의 2: 1709년 현실에 대한 두 가지 시선이 등장하였다. 효종의 시대부터 숙종의 시대까지 정계와 학계를 누비며 큰 영향력을 행사한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제자인 권상하(權尙夏, 1641~1721)의 제자들이 1709년 충청도 보령의 한산사에 모였다. 송시열이 누구인가를 아는 것은 조선 후기 성리학의 역사를 이해함에 도움이 된다. 간단하게 소개하면, 그는 전적으로 주자의 학설을 계승하는 것을 강조하였고, 자신이 그러한 인물이라 자부하였다. 조광조(趙光祖, 1482~1519)에서 이이(李珥, 1536~1584) 그리고 김장생(金長生, 1548~1631)으로 이어지는 조선 기호학파의 학통을 이어가는 사람이라 스스로 자부하였다. 그런 그에겐 유명한 제자들이 있었다. 권상하는.. 2020. 12. 29.
유식혜의 조선 후기 철학사 1: 왜 호락논쟁을 강의하려 하는가? 유식혜의 조선 후기 철학 강의 1: 왜 ‘호락논쟁’을 강의하려 하는가? 나는 철학사를 ‘정치-존재론’의 관점으로 읽어간다. 철학사란 지난 철학을 돌아본다는 것이고 나는 지난 철학의 삶을 그런 관점에서 돌아본다는 말이다. 나의 책 도 어쩌면 그러한 맥락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저런 화려한 형이상학적 논의들도 대체로 아니 적어도 지금까지 내가 진지하게 다룬 거의 모든 형이상학적 고민들은 정치적 맥락 속에서 활용되었고 폐기(廢棄)되었다. 설령 철학자의 의도가 그렇지 않아도, 그 철학자의 철학은 그렇게 소비되었다. 어쩌면 철학의 쓸모는 바로 그것이었다. 정치적 필요 말이다. 플라톤에게 와 은 어쩌면 자기 철학의 이유다. 그가 철학을 한 이유는 그저 유유자적(悠悠自適)하게 교양을 확대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 2020. 12. 28.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 태극도설 第 一 太 極 圖 無極而太極。太極動而生陽。動極而靜。靜而生陰。靜極復動。一動一靜。互爲其根。分陰分陽。兩儀立焉。陽變陰合。而生水火木金土。五氣順布。四時行焉。五行一陰陽也。陰陽一太極也。太極本無極也。五行之生也各一其性。無極之眞。二五之精。妙合而凝。乾道成男。坤道成女。二氣交感。化生萬物。萬物生生。而變化無窮焉。惟人也得其秀而最靈。形旣生矣。神發知矣。五性感動。而善惡分。萬事出矣。聖人定之以中正仁義而主靜。立人極焉。故聖人與天地合其德。日月合其明。四時合其序。鬼神合其吉凶。君子修之。吉。小人悖之。凶。故曰。立天之道。曰陰與陽。立地之道。曰柔與剛。立人之道。曰仁與義。又曰。原始反終。故知死生之說。大哉易也。斯其至矣。 朱子曰。圖說首言陰陽變化之原。其後卽以人所稟受明之。自惟人也得其秀而最靈。純粹至善之性也。是所謂太極也。形生神發。則陽動陰靜之爲也。五性感動。則陽變陰合。而生水火木金土.. 2020.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