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18 종이 되지 말자! <대한민국철학사> 읽기 반성은 주체의 특권이다. 반성, 즉 돌아봄 없는 주체는 없다. 반성과 주체 없는 곳에 철학은 없다. '나'란 존재의 외모와 완전히 동일한 존재가 있다고 해도 반성으로 세워지는 주체는 다르다. 아무리 같은 외모와 말투라도 완전히 다른 존재가 되는 이유는 반성으로 세워진 주체의 차이 때문이다. 또한 반성으로 스스로 하는 것이다. 자기 힘으로 반성하여 자기 힘으로 주체가 되는 것이다. 노예는 반성하지 않는다. 그냥 주이느이 목소리를 기다릴 뿐이다. 스스로 주체적으로 자기 존재를 결정하지 못하고 자기 본질을 결정하지 못한다. 목소리를 기다릴 뿐이다. 335쪽 생각이 욕심을 따라가면, 이기적인 잔머리가 된다. 남을 이기고, 욕심 내는 것을 얻으면 인정 받는다. 그 일이 비도덕적이라도 말이다. 우리 사회를 보자. .. 2020. 3. 27. 노동으로 나는 있고 무엇이 된다. 2020.03.25 나에게 연구... 책과 논문을 읽고 글을 쓰는 행위는 노동이다. 노동자로 나의 노동이다. 내가 굳이 나를 철학노동자라는 이름으로 소개하는 것은 노동을 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나의 노동은 나의 생존을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이 세상과의 대화다. 농부에게 농사는 노동이다. 그 노동으로 그는 생존의 문제, 자기 있음의 문제를 해결하지만, 동시에 그 노동 생산물로 세상과 대화한다. 그 대화 가운데 농부는 그냥 말뿐인 무엇이 정말 유의미한 뜻을 가진 무엇이 되어 우리 가운데 참여하게 된다. 노동은 그렇게 나를 있게 하고 나를 무엇을 우리 가운데 있게 하는 존재론적 행위다. 나는 바로 그 존재론적 행위를 하는 사람이고, 노동의 권리는 바로 그 존재론적 행위의 권리다. 소중한 권리다. 그 만큼 간절하다. .. 2020. 3. 25. "사랑이 희망이다." <대한민국철학사> 읽기 3. 2020.03.22 하느님이 곧 사랑이다. 하느님을 믿는 신앙인은 하느님을 닮아야 한다. 인간은 '하느님의 모상'이다. 하느님의 사랑은 무조건적 사랑이며, 인간의 사랑은 그런 하느님의 사랑을 닮아야 한다. 누군가를 어떤 이유가 있어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사랑해야 한다. 하느님이 우리를 그렇게 사랑했고, 그것이 사랑의 원형이기 때문이다. 설사 인간이 누군가를 자신의 행복을 위한 수단으로 사랑한다고 해도 근본적으로 사랑은 그 자체가 목적이어야 한다. '나는 너를 사랑한다.는 말에서 '나'는 '너'를 어떤 다른 이유가 있어서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너'가 너'라서 사랑해야 한다. 그것이 하느님의 사랑을 가장 많이 닮은 사랑이다. 그런 사랑으로 하나가 되어야 한다. 477쪽 지금 우리는 참으로 혼란스러운 시간을 보내.. 2020. 3. 22. 철학의 '여유' 스콜라 철학 강의 3 (2020.03.19) 3강 철학의 ‘여유(餘裕)’ ‘철학(哲學)’이란 것에 ‘스콜라’ 철학이라며, ‘스콜라’라는 수식어로 수식될 때에는 그 ‘스콜라’라는 말의 의미가 매우 중요합니다. 헬라말 ‘σχολή(스콜레)’는 ‘여유’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말입니다. ‘여유’로운 사람은 고단한 삶으로부터 한 걸음 떨어져 그 삶을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육체적 노동에 있어 고통의 주체가 되어 버리면 자기 삶을 한 걸음 떨어져 볼 수 없습니다. 당장 그 고단함을 이기고 일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기원 전 1000년 전쯤, 유럽의 북쪽과 서쪽으로부터 서서히 철기 시대가 시작됩니다. 갑자기 완성된 것이 아니라, 서서히 거의 500년에 이어져 확대되어 갑니다. 농기구와 무기가 서서히 철기가 됩니다. 이 말은 더 많은 것을 생산할 수 있고, .. 2020. 3. 19. 이전 1 ··· 88 89 90 91 92 93 94 ··· 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