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철학학교237 나라는 존재... 나는 태어나길 가정에서 태어났다. 사람에 따라 굳이 생물학적인 부모와의 가정이라도 상관없다. 모두다 누군가와 더불어 있는 자신으로 자신을 돌아본다. 어느 한 순간도 철저히 나로 홀로 있지 않다. 다투던 이와의 아픈 기억도 사랑하더 이와의 소중한 기억도 항상 누군가와 함께 있다. 그렇다. 그리도 홀로 있고 싶다지만 결코 철저히 홀로 있을 수 없는 것이 사람이다. 바로 나라는 존재다. 눈을 감고 어둠 속 자신만 보고 산다면 행복할까? 사랑하는 이의 웃음도 눈물도 없이 그저 홀로 나는 너희와 다른 세상이라며 그리 있는 것이 정말 행복일까? 아닐거다. 적어도 나는 아닐 것 같다. 눈을 뜨고 세상 부조리를 보며 내 안에 어지러움으로 다가오는 아픔 앞에서 자신이 무엇을 해야할지 고민해야 제대로 있는 것일거다. 고민.. 2019. 10. 5. '한국'은 과연 '우리'인가? 나는 나를 문제삼을 수 있을까? 나는 나를 반성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을까? 쉽지 않다. 어느 순간 합리화 속에서 나를 쉽사리 용서한다. 나는 남들과 다르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런 저런 상황이니 어쩔 수 없었다고 생각한다. 결국 남의 탓이다. 남들이 나를 힘들게 하고 남들이 부족하고 남들이 잘못한 것이다. 나는 나를 문제 삼고 어느 순간 그렇게 나는 남의 탓으로 아파하는 이가 된다. 그런데 나 역시 남에게 남이다. 나도 남이다. 나라는 남으로 인하여 아파하고 상처받는 이들이 있다. 나를 탓하며 자신의 아픔을 이해하는 이들도 있다. 나는 모른다. 나는 남이 되어 있지 않기에 말이다. 나는 나라는 틀에서 나를 문제 삼을 수 없기에 말이다. 그렇게 나는 나를 문제 삼을 수 없다. 남을 변화시킬 수도 없다. 나.. 2019. 9. 27. 성 프란치스코의 오상 앞에서- 예수는 ‘가난한’ 이의 몸으로 이 땅에 오셨다. 성 프란치스코의 오상 앞에서- 예수는 ‘가난한’ 이의 몸으로 이 땅에 오셨다. 예수는 대단한 사람이 아니었다. 가난했다. 잔혹한 고문을 받았다. 십자가에 못박혀 죽었다. 대단하지 않았다. 기적의 능력을 가졌다지만, 가난하고 아픈 이를 위한 치유의 기적을 행할 뿐, 스스로를 위해 사용하진 않았다. 자신에게 찾아온 잔혹한 죽음의 고통을 피하지 않았다. 부유함과 권력을 얻으려 애쓰지도 않았다. 높은 곳에 올라 지배하는 권세의 기적보다 낮은 곳의 아픔을 안아주는 치유의 기적을 보였다. 예수는 많이 배우지 않았다. 명문 학교를 나온 이도 아니다. 그리스나 로마로 유학을 다녀온 수재도 아니다. 모두가 인정하는 공간에서 체계적인 신학 교육을 받은 이도 아니다. 그는 가난하고 아픈 이들의 벗으로 있을 뿐이었다. 지상에.. 2019. 9. 26. 아픔 앞에 고개 돌리지마라! 다가가라! 그것이 참 회개의 시작이다.-헤르마스의 분노 아픔 앞에 고개 돌리지마라! 다가가라! 그것이 참 회개의 시작이다.-헤르마스의 분노 ‘아픔’은 책으로 알 수 없다. ‘아픔’이란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이해한다고, 참된 의미를 아는 것은 아니다. 아파봐야 안다. ‘아픔’이 되어봐야 안다. 책이 아닌 삶에서 알게 된다. 책에서 배울 순 없다. ‘번뇌시도량’(煩惱是道場)이란 말이 있다. 산스크리트어 불경을 한문으로 번역한 쿠마라지바의 말이다. 참된 깨우침은 번뇌로 가득한 이 현실의 공간에서 얻어진다는 말이다. 고통과 번뇌로 가득한 이 현실의 공간을 외면하곤 참다운 깨우침을 얻을 수 없다. 현실의 고통에서 고개 돌리고 앉아 그저 책 속에 얻은 깨우침은 살아 숨 쉬는 삶의 참된 깨우침이 아니다. 지금 눈앞에서 울고 있는 이 사람의 아픔 앞에 무력한 깨우침일 뿐이.. 2019. 9. 26. 이전 1 ···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